팔꿈치통, 테니스 팔꿈치와 골프 팔꿈치 증상과 치료병원(마사지, 운동)

팔꿈치 통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테니스 팔꿈치와 골프 팔꿈치가 있습니다.

테니스 팔꿈치는 외측상과염이라고 불리며, 주요 통증 부위는 팔꿈치 바깥쪽이고, 골프 팔꿈치는 내측상과염이라고 불리며, 주요 통증 부위는 팔꿈치 안쪽입니다.

손목 관절을 구부리거나 펴는 데 사용되는 근육은 팔을 통해 팔꿈치 부분 안쪽의 튀어나온 뼈 부근에 붙습니다.

손목 관절을 무리하게 사용하면 근육이나 뼈에 붙어 있는 부위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받게 됩니다.

테니스 팔꿈치 또는 골프 팔꿈치는 손목 관절의 과도한 사용으로 팔꿈치 부분 근육과 뼈가 붙는 부위에 파열이나 염증, 통증이 유발되는 질환입니다.

테니스 팔꿈치의 원인은 손목 신전근의 과도한 사용입니다.

손가락이나 손목을 펴는 데 관여하는 근육은 팔을 통해 팔꿈치 바깥쪽의 튀어나온 뼈인 상완골에 붙습니다.

무거운 물건을 갖거나 무리한 힘을 넣어 손목을 반복 신장할 경우 근육의 첨단에 뼈와 붙어 있는 부위에 무리가 생기어 파열이나 염증이 발생합니다.

테니스 엘보의 주요 통증의 부위는 팔꿈치 바깥으로 튀어 나온 뼈인 모습으로 주위입니다.

위와 1~2cm부분을 누르면 심한 압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먹을 쥐고 손등 위에 손목을 젖히면 주통이 유발됩니다.

팔과 손목으로 이어지는 방사 통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팔이 저리거나 감각 저하를 수반하는 것이 있습니다.

손가락을 신장할 때 저항을 주면 통증이 늘어납니다.

아래팔을 바깥으로 회전시키면 통증이 늘어납니다.

반대로 골프 엘보는 손목을 손바닥 쪽으로 굴곡 시키는 근육이 원인입니다.

통증의 부위는 팔꿈치 안쪽에 돌출한 뼈 주변의 통증입니다.

진단 때문에 X 선 초음파 검사 등이 필요한 경우가 있고 손상 정도나 감별을 위해서 MRI촬영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통의 치료자의 부위에 생기는 통증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되도록 해당 부위의 사용을 줄이고 안정하게 하는 것입니다.

염증과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 이학 요법 등이 행해집니다.

스테로이드는 염증 치료에 강력하지만 부작용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프로로 요법 같은 주사 치료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물리치료 방법으로 체외충격파 치료는 손상 부위의 혈류를 개선하고 유착성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도수 치료, 마사지 치료 등으로 근육을 이완시키고 힘줄에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급성기의 열감이나 붓기가 있는 경우에는 냉습이 도움이 됩니다.

– 급성기가 지난 후에는 온찜질로 혈류를 개선하여 치료를 돕기도 합니다.

- 팔꿈치에서 손가락 2~3절 아래로 테이핑이나 스트랩을 사용하여 팔꿈치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치료 후 팔꿈치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정상적인 기능 회복이 이루어진 것은 아닙니다.

정상적인 기능 회복과 재발을 막기 위해 운동이나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테니스 팔꿈치에 도움이 되는 운동이나 스트레칭, 마사지 방법을 소개해 드릴게요. 증상만으로 자가진단하여 시행하는 것보다는 팔꿈치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먼저 진료 및 검사를 통해 치료를 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다음 운동 방법은 하늘병원 동작교정치료실 김광성 실장이 소개하는 영상입니다.

우리 몸의 조직은 서로 연결되며 다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테니스 팔꿈치와 관련된 근육 마사지 방법입니다.

상완 삼두근 마사지 입니다.

상완삼두근은 팔 후면에 위치하며 팔꿈치 쪽에 붙는 근육으로 팔꿈치를 움직일 때 안정성을 제공하는 근육입니다.

이 근육이 긴장했을 때 팔꿈치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상완요골근은 팔꿈치의 외골인 외측상과에서 하완골 끝까지 이어진 근육입니다.

보통 물건을 들어올릴 때 관여하는 근육입니다.

다음은 허리 측 손목 근육 마사지입니다.

마지막으로 총지신근 마사지입니다.

다음 영상의 운동은 말리간 기법이라고 불리는 도수 치료 방법을 응용한 운동입니다.

다음 영상의 운동은 말리간 기법이라고 불리는 도수 치료 방법을 응용한 운동입니다.

팔꿈치 관절을 움직이면서 운동하면 팔꿈치 통증이 유발됩니다.

이때 관절 사이의 공간을 줌으로써 통증이 완화된다는 원리입니다.

팔꿈치 관절이 접히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완은 위로 당기고 상완은 아래로 당겨 관절 간 틈새를 유도한 후 운동을 합니다.

팔꿈치 통증을 유발시키는 테니스 팔꿈치, 골프 팔꿈치처럼 힘줄, 힘줄 부착 부위는 치료 반응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통증 초기에 정확한 진단·저하 치료나 관리를 잘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