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의 종류, 효능, 보관방법 – 천일염, 꽃소금, 자염, 죽염, 암염, 함초염

소금은 다 똑같은 소금이다?네, 제가 지금까지 살면서…그렇게 지내셨네요. 어머니가 옆에서 ‘이 소금은 소금물을 빼야 하고’ 이 소금이 좋네요~~’ 이런 얘기는 못 들으셨죠?(소금의 모양, 굵기 정도의 차이만 나면…)..어쨌든 지금부터라도 알게 되어 구분은 됩니다.

궁금하지 않아도 알려드립니다.

소금은 다 똑같은 소금이다?네, 제가 지금까지 살면서…그렇게 지내셨네요. 어머니가 옆에서 ‘이 소금은 소금물을 빼야 하고’ 이 소금이 좋네요~~’ 이런 얘기는 못 들으셨죠?(소금의 모양, 굵기 정도의 차이만 나면…)..어쨌든 지금부터라도 알게 되어 구분은 됩니다.

궁금하지 않아도 알려드립니다.

우리 몸은 약 70%의 수분과 0.9%의 염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염분은 수분과 함께 체액의 삼투압을 유지하고 과도하게 축적된 칼륨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근육 수축 작용과 영양소 이동, 소염 작용에 의한 축농증이나 신경통, 관절염 등의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어요.물론 염분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성분이지만 많이 섭취하면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
짜게 먹으면 체내 염분 함유량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수분을 너무 많이 섭취하게 되면 혈관세포가 팽창하면서 혈관이 좁아지고 혈압이 높아집니다.

(몸이 붓기도 합니다.

)~)그래서 적당량을 섭취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소금의 종류

소금은 생산 방법에 따라 천일염, 정제염, 암염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암염암에서 캐내는 소금입니다.

옛날 바다였던 곳이 땅이 된 후 오랜 세월을 거쳐 화석화된 것으로 나트륨 함량이 90~95%로 높고 쓴맛이 나서 미네랄 성분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한국보다 미국이나 유럽에서 많이 나는 소금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소금이래요!
히말라야 핑크솔트가 대표적인 암염입니다.

1. 암염암에서 캐내는 소금입니다.

옛날 바다였던 곳이 땅이 된 후 오랜 세월을 거쳐 화석화된 것으로 나트륨 함량이 90~95%로 높고 쓴맛이 나서 미네랄 성분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한국보다 미국이나 유럽에서 많이 나는 소금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소금이래요!
히말라야 핑크솔트가 대표적인 암염입니다.

2. 천일염, 한국은 대부분 바닷물에서 소금을 얻습니다.

천일염은 바닷물을 염전에 가두어 햇빛과 바람으로 수분과 유해성분을 증발시켜 만드는 가공하지 않은 소금입니다.

국내 천일염은 수심이 깊지 않고 조수 간만의 차이가 큰 서해안과 남해안에서 주로 생산됩니다.

전라남도 신안군은 국내 염전 면적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천일염 생산량이 65% 정도라고 합니다!
품질도 뛰어납니다.

그래서 우리가 흔히 마트에서 사먹는 천일염이 국내산 100%입니다 (한국뿐만 아니라 인도양, 지중해 연안, 미국, 호주 등에서도 생산됩니다.

) 천일염은 나트륨이 80~88% 정도이고 나머지는 무기질과 미네랄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천일염은 결정이 굵는데요.(그래서 천일염=굵은소금) 달걀이 굵고 반투명합니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천일염은 알칼리성이며 염도는 약 88%입니다.

바닷물을 햇빛과 바람에 말려 제조하는 만큼 미네랄 함량이 높고 풍미가 좋아요.그러나 수분과 소금물이 많아 떫고 쓴맛이 나거나 정제되지 않은 만큼 불순물이 섞여 있기도 합니다.

(그래서 엄마가 소금물을 빼야 한다고 했나봐요)

천일염에는 칼슘, 마그네슘, 아연, 철, 칼륨 등 무기질과 수분이 많아 채소나 생선장아찌나 김치를 담글 때 많이 사용됩니다.

그리고 간장이나 된장을 만들때도 주로 쓰입니다.

천일염에서 김치와 간장, 된장 등 발효 식품을 만들면 발효가 진행되면서 유해 성분이 없어진대요!
결정이 크기 때문에 녹는 것에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삼투압 현상으로 수분이 천천히 빠져나가고 채소와 생선 맛을 남김없이 베고 풍미가 높아집니다.

천일염은 꽃 소금과 미염보다 나트륨 함량이 10%정도 낮고 조리에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조리에 사용할 때 흐르는 물에 굵은 소금을 씻어 불순물을 제거한 뒤 소쿠리에 말리고 코팅되지 않은 스테인리스 프라이팬으로 30분 정도 볶아서 사용하면 됩니다.

이렇게 볶아서 사용하면, 쓴맛을 내소금물 성분이 제거되고 깔끔한 맛이 된답니다.

천일염은 전통적인 방법이 아니라 일제 시대 때 도입된 방법입니다.

전통적인 방법은 “자염”에서 밀물 때 들어온 바닷물은 마른 갯벌을 통과하며 염도가 낮아지는데, 이 바닷물을 갯벌로 증발시켜서 농축시킨 염도가 높은 수분을 모으고 가마에서 10시간 정도 끓이고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소금(시에은)은 삶다(에) 있어 만든 소금(소금)라는 의미 바닷물을 끓이면서 거품을 취하는 등 귀찮은 작업이 많지만 이렇게 만든 자줏빛 소금은 입자가 깨끗하고 간이 적은 미네랄이 풍부한 데다 끓이는 과정에서 살균과 함께 오염도 일어날 수 없어요.별명으로는 화염, 불 오염, 고기염이라고도 불립니다.

천일염에서 김치와 간장, 된장 등 발효 식품을 만들면 발효가 진행되면서 유해 성분이 없어진대요!
결정이 크기 때문에 녹는 것에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삼투압 현상으로 수분이 천천히 빠져나가고 채소와 생선 맛을 남김없이 베고 풍미가 높아집니다.

천일염은 꽃 소금과 미염보다 나트륨 함량이 10%정도 낮고 조리에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조리에 사용할 때 흐르는 물에 굵은 소금을 씻어 불순물을 제거한 뒤 소쿠리에 말리고 코팅되지 않은 스테인리스 프라이팬으로 30분 정도 볶아서 사용하면 됩니다.

이렇게 볶아서 사용하면, 쓴맛을 내소금물 성분이 제거되고 깔끔한 맛이 된답니다.

천일염은 전통적인 방법이 아니라 일제 시대 때 도입된 방법입니다.

전통적인 방법은 “자염”에서 밀물 때 들어온 바닷물은 마른 갯벌을 통과하며 염도가 낮아지는데, 이 바닷물을 갯벌로 증발시켜서 농축시킨 염도가 높은 수분을 모으고 가마에서 10시간 정도 끓이고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소금(시에은)은 삶다(에) 있어 만든 소금(소금)라는 의미 바닷물을 끓이면서 거품을 취하는 등 귀찮은 작업이 많지만 이렇게 만든 자줏빛 소금은 입자가 깨끗하고 간이 적은 미네랄이 풍부한 데다 끓이는 과정에서 살균과 함께 오염도 일어날 수 없어요.별명으로는 화염, 불 오염, 고기염이라고도 불립니다.

3. 꽃소금은 소금 결정의 모양이 눈꽃 모양이므로 꽃소금이라고 불립니다.

재제염이라고 합니다.

굵은 소금인 천일염보다는 무기질 함량은 부족하지만 불순물이 적고 색이 희고 입자가 작아 대부분의 조리에 활용하는 소금입니다.

꽃소금은 미네랄 보존을 위해 자연 여과를 한다고 합니다.

꽃소금은 요리의 처음보다는 중간이나 마무리로 넣는 것이 좋아요.하지만 천일염(80%)보다는 염분이 높기 때문에 꽃소금(88%) 다량 섭취는 자제해야겠죠? 재제염과 정제염**다시 제염 암염과 천일염 등의 원료 소금을 정제수, 바닷물 바닷물 농축액에 타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여과한 후 침전시키고 가열하면 소금이 형성되는 것을 다시 제염이라고 합니다.

즉, 다시 제염은 다시 만든 소금이라는 뜻입니다.

보통은 국내산 천일염과 수입 소금을 2:8로 섞어 물에 녹인 후 가열되고 수분을 증발시키고 다시 결정화함으로써 생산한답니다.

열심히 제염의 바닷물을 여과, 침전, 이온 교환막 통과 등의 과정을 거쳐서 불순물이나 중금속을 제거한 순수한 소금입니다.

그만큼 위생적이고 안전합니다.

바닷물을 미세한 구멍을 가진 이온 수막(이온 교환 막)에 흐르면 나트륨 이온과 염소 이온은 투과된 마그네슘, 칼슘 같은 2가의 이온류와 납, 아연, 비소 같은 중금속은 막을 통과할 수 없다고 합니다.

그러나 가공 과정에서 각종 미네랄이 모두 제거된 염화 나트륨만 남기 때문에 순도는 높지만 농도가 99%이상으로 간이 강합니다.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값이 싸기 때문에 식품 회사에서 자주 이용한답니다.

**재제염암염이나 천일염 등의 원료염을 정제수, 바닷물, 해수농축액에 녹여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한 후 침전시켜 가열하면 소금이 형성되는 것을 재제염이라고 합니다.

즉, 재제염이란 다시 만든 소금이라는 뜻입니다.

보통은 국내산 천일염과 수입 소금을 2:8로 섞어 물에 녹인 후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재결정화함으로써 생산한다고 합니다.

정제염 바닷물을 여과와 침전, 이온교환막 통과 등의 과정을 거쳐 불순물과 중금속을 제거한 순수 소금입니다.

그만큼 위생적이고 안전합니다.

바닷물을 미세한 구멍을 가진 이온수막(이온교환막)에 통과시키면 나트륨 이온과 염소 이온은 투과되고 마그네슘, 칼슘 같은 2가 이온류와 납, 아연, 비소 같은 중금속은 막을 통과할 수 없다고 합니다.

그러나 가공 과정에서 각종 미네랄이 모두 제거되고 염화나트륨만 남기 때문에 순도는 높지만 농도가 99% 이상으로 짠맛이 강합니다.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식품회사에서 자주 이용한다고 합니다.

한주염이 국내 최초의 정제염으로 국내산 100% 바다소금으로 만듭니다.

기본에 충실한 천연염으로 본염, 장소금, 꽃소금의 3종류만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최대 소금 생산지는 신안이 아닌 울산이었지만, 한주 소금도 울산에서 생산되고 있습니다!
한주염이 국내 최초의 정제염으로 국내산 100% 바다소금으로 만듭니다.

기본에 충실한 천연염으로 본염, 장소금, 꽃소금의 3종류만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최대 소금 생산지는 신안이 아닌 울산이었지만, 한주 소금도 울산에서 생산되고 있습니다!
4. 맛소금 정제염에 MSG(글루탐산나트륨)를 첨가하여 감칠맛 나는 소금을 맛소금이라고 합니다.

맛소금은 요리 끝에 간을 맞추거나 다른 양념 없이 소금으로만 간을 할 때 많이 쓰입니다~ 나물을 무칠 때도 감칠맛을 더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4. 맛소금 정제염에 MSG(글루탐산나트륨)를 첨가하여 감칠맛 나는 소금을 맛소금이라고 합니다.

맛소금은 요리 끝에 간을 맞추거나 다른 양념 없이 소금으로만 간을 할 때 많이 쓰입니다~ 나물을 무칠 때도 감칠맛을 더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5. 구운 소금 천일염을 고온에서 볶거나 구워 만든 소금입니다.

보통 400도 이상에서 만들어진대요.400도 이하에서 만든 건 볶은 소금이래요.고온에서 만들어서 미네랄도 날아가겠지만 불순물만 날아가고 미네랄은 그대로여서 건강에 좋아요~ 주로 조림요리에 많이 사용해요~5. 구운 소금 천일염을 고온에서 볶거나 구워 만든 소금입니다.

보통 400도 이상에서 만들어진대요.400도 이하에서 만든 건 볶은 소금이래요.고온에서 만들어서 미네랄도 날아가겠지만 불순물만 날아가고 미네랄은 그대로여서 건강에 좋아요~ 주로 조림요리에 많이 사용해요~6. 죽염죽염은 죽통에 천일염을 빈틈없이 채우고 600도 온도에서 소나무 장작열을 이용하여 구워낸 소금입니다.

대나무의 좋은 성분으로 인해 약용성분이 생긴다고 합니다 환자분들 음식에 사용하시면 좋은 소금입니다6. 죽염죽염은 죽통에 천일염을 빈틈없이 채우고 600도 온도에서 소나무 장작열을 이용하여 구워낸 소금입니다.

대나무의 좋은 성분으로 인해 약용성분이 생긴다고 합니다 환자분들 음식에 사용하시면 좋은 소금입니다7. 함초염 서남해안 지역에서 채취할 수 있는 함초를 첨가하여 만든 함초염은 일반 소금에 비해 나트륨 함량이 적고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고 합니다.

국이나 반찬 등의 요리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어요~ 함초란?함초의 ‘함’은 짠맛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소금을 흡수하면서 자라기 때문이래요. 고혈압과 당뇨병에 효과가 있다는 신비의 약초라고 합니다.

소금의 효능소금은 혈압조절, 영양소운반, 신경전달, 면역력강화, 생리기능조절 등 많은 작용을 하기 때문에 생명유지를 위한 필수 영양소로 불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나트륨 부족 시 두통이나 혈액량 감소, 혈압 저하, 구토, 탈수, 어지럼증 등의 다양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금을 올바르게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금 보관 방법일반적으로 소금 유통 기한이 없습니다.

대신 소금은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로 흡습성이 높아 그만큼 잘 굳어집니다.

그래서, 습기가 않고 시원한 통풍의 좋은 장소에 보관하십시오.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밀폐 용기에 소금을 넣고 건조한 실온에서 보관하면 되고, 숯 등의 습기 제거제도 함께 두면 효과가 더 좋습니다.

소금이 약간 축축해경우에는 키친 타월 위에 태우고 방치하세요.사용하기 전에 전자 레인지에서 1분 정도 가열하거나 프라이팬에서 살짝 볶아도 됩니다.

천일염을 보관할 때는 젖은 장소에 보관하지 않고 만약 단지가 있으면 바닥에 구멍을 뚫고 천일염을 넣어 주세요.바닥에 자주 세탁한 숯을 함께 넣으면 소금의 맛이 더 좋아진대요~같이 보면 좋은 문장^^간장의종류,효능,보관방법식초의종류,효능,보관방법 미림vs요리주의차이,사용방법,보관방법